오늘은 DB Relationships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이해하기가 껄끄러웠던 Recursive Relationships에 대해 정리한다. 이전 글https://baram1ng.tistory.com/28 Entity Relationships (2)앞서 Entity의 개념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번엔 Weak/Strong Entity, 그리고 (non)-ID-dependent 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해보고자 한다. 이전 글https://baram1ng.tistory.com/27 Entity Relationships (1)DB를 설계할 때, 가장baram1ng.tistory.comRecursive Relationships(재귀적 관계) Recursive Relationships은 엔터티가 자기 자신과 관계를 갖..
앞서 Entity의 개념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번엔 Weak/Strong Entity, 그리고 (non)-ID-dependent 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해보고자 한다. 이전 글https://baram1ng.tistory.com/27 Entity Relationships (1)DB를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부분이 바로 Entity Relationships이다. 오늘은 Entity Relationships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그전에 Entity를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Entity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baram1ng.tistory.comWeak Entity Weak Entity란 Strong Entity없이는 무의미한 엔터티이다. 즉, DB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Entity이다. ..
DB를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부분이 바로 Entity Relationships이다. 오늘은 Entity Relationships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그전에 Entity를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Entity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짚고 넘어가자. Entity 엔터티(Entity)란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집합이다. 즉, 우리가 추적하고 저장하기 위한 두루뭉술한 설계도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엔터티는 Entity Class(엔터티 클래스)와 Entity Instance(엔터티 인스턴스)로 크게 분류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위 엔터티 클래스와 엔터티 인스턴스는 파이썬 Class 개념을 생각하면 될 것 같다.) Entity Class(엔터티 클래스)란,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